2007. 11. 26. 14:02 Unix/Linux
SuSE Linux 관련
http://openskills.info/infobox.php?ID=949
o SuSE Linux Firewall 관련
http://www.topology.org/linux/fwsuse.html#suse91
o SuSE에만 해당되는 사항은 아니지만 Open Skills라는 사이트
http://openskills.info/
2007. 11. 26. 14:02 Unix/Linux
2007. 11. 24. 08:07 Unix/Linux
2007. 11. 20. 11:19 Unix/Linux
o Magic SysRq Key란 무엇인가?
- magic system request key 의 줄임말.
- magical key combo를 말하는 것으로 해당 키를 누르게되면 커널이 무엇을
하고 있던간에 커널이 완전히 죽은 경우가 아니라면, 바로 응답을 준다.
o 커널 컴파일옵션
make menuconfig -> Kernel Hacking -> Kernel Debugging 체크 -> Magic Sysrq Key 체크
* 일반적으로 배포되는 리눅스에는 위 옵션이 기본적으로 체크되어 있다. 따라서
설치된 커널은 이미 sysrq 를 지원하도록 준비가 되어있는 셈이다.
o sysrq 활성화/비활성화
sysrq 를 run-time 에 enable / disable 할 수 있는데, 다음 명령을 사용한다.
enable : # echo 1 > /proc/sys/kernel/sysrq
disable : # echo 0 > /proc/sys/kernel/sysrq
o sysrq 사용
콘솔에서 <alt>-<sysrq>-"magic key" 를 누르면 된다.
o magic key 종류와 기능
magic key 에 해당하는 키와 그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아래 내용은 커널 소스의 Documents/sysrq.txt 를 참조하였다.)
'r' - 키보드 raw mode를 끄고 XLATE모드로 설정
(상당히 제한적이며, 상/하 키 이벤트를 탐지할 수 없다. 모든 키에 대해 Ctrl/Alt/Shift를 처리할 수 없다)
(* Quite limited, cannot detect key up/key down events. Doesn't handle ctrl/alt/shift for all keys.)
-> X 서버 또는 svgalib 프로그램 Crash의 경우 편리함
'k' - Secure Access Key (SAK), 현재 가상 콘솔 상의 모든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로그인시에 패스워드를 갈취하는 트로이목마 프로그램이 없기를 원할 때 유용하다.
현재 가상 콘솔상의 모든 프로그램을 종료하여 트로이목마 프로그램이 실행한 것이 아닌 init에 의해
실행된 로그인 프롬프트를 원할 경우)
'b' - sync나 디스크의 마운트해제(unmount)없이 시스템을 즉시 reboot
'c' - sync나 디스크의 마운트해제없이 의도적으로 시스템 crash를 일으킨다.
이 키는 NETDUMP 클라이언트 패키지 또는 DISKDUMP 패키지가 설치되었다면 가장 유용하다
'o' - 시스템을 끈다.(설정이 되어 있고 지원한다면).
's' - 모든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에 대해 sync 시도
'u' - 모든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을 읽기전용으로 마운트 시도
'p' - 콘솔상에 현재 레지스터(register)와 플래그(flag)를 뿌려준다.
't' - 콘솔상에 현재 작업 목록과 그 정보를 뿌려준다.
'm' - 콘솔상에 현재 메모리 정보를 뿌려준다.
'v' - Dumps Voyager SMP processor info to your console.
(Voyager SMP Processor가 뭔지.. 암튼 그 프로세서 정보를 콘솔에 뿌려준단다.)
'0'-'9' - 어떤 커널 메세지를 콘솔에 뿌려줄지 제어하는 콘솔 로그 레벨을 설정한다.
('0'의 경우 매우 긴급한 메시지만 콘솔상에 뿌려준다. syslogd/klogd가
실행중이라면 계속 로그를 생성한다.(파일시스템에..))
'e' - init 프로세스를 제외한 모든 프로세스에 SIGTERM 시그널을 보낸다.
'i' - init 프로세스를 제외한 모든 프로세스에 SIGKILL 시그널을 보낸다.
'l' - 모든 프로세스(init 포함)에 SIGKILL 시그널을 보낸다.(이를 수행한 후에 시스템은 동작하지 않음)
'h' - 도움말을 표시한다.(실제로 위의 목록에 없는 key들은 도움말을 보여준다. 하지만 'h'가 기억하기 쉬움)
위에서 run-time 으로 sysrq ON/OFF 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얘기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reboot 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reboot 후에 적용되도록 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1. /etc/sysctl.conf 파일을 직접 수정한다.
# vi /etc/sysctl.conf
kernel.sysrq = 1 입력
# reboot
위와 같이 하면 reboot 후 항상 sysrq 가 enable 상태로 reboot 된다.
2. sysctl 명령어를 사용한다.
# sysctl -w kernel.sysrq=1
위 명령은 결국 /etc/sysctl.conf 에 kernel.sysrq=1 옵션을 기록해준다. 따라서 reboot 후에 적용된다.
만일 서버에 접속할 수는 있어도 콘솔은 없는 경우에 sysrq 를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 파일을 사용하여 가능하다.
/proc/sysrq-trigger
말 그대로 sysrq-trigger 이다. 해당 파일의 permission 은 --w------ 이다. 즉 root 권한으로 쓰기만 가능하다.
echo b > /proc/sysrq-trigger 라고 하면 콘솔에서 <alt>-<sysrq>-"b" 를 누른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즉 reboot 된다. 즉 sysrq-trigger 파일에 원하는 명령어를 써주면 바로 해당하는 sysrq 명령이 수행된다.
** 상기 내용은 http://blog.naver.com/pinocc/120037594446의 내용에 리눅스 커널문서중 sysrq.txt의 내용을
첨가하여 정리한 것임
** 더 상세한 내용은 sysrq.txt 내용을 보시기 바람.
2007. 11. 15. 15:55 Unix/Linux
기본설정
openssl.conf 파일 편집
2007. 11. 13. 10:41 Unix/Linux
o 배포판 버전 : Ubuntu 7.04 Desktop 버전
o 설치 패키지 : open-vm-tools-2007.09.04-56574.tar.gz (http://open-vm-tools.sourceforge.net/)
o 설치한 이유 : vm-tools를 설치하다가 컴파일 에러가 나서..
o 설치한 과정 :
- open-vm-tools-2007.09.04-56574.tar.gz을 다운로드 받는다.
- 기본적으로 설치된 Desktop Ubuntu에 다음의 패키지를 설치한다.
libgc-dev
libXinerama-dev
libxrandr-dev
libxtst-dev
libgtk-dev (1, 2 version 모두)
- 압축을 풀고 디렉토리로 이동
- ./configure
- make
- make modules
- make install
- /etc/ld.so.conf 에 /usr/local/lib 추가
- ldconfig 실행
--- to be continued....
2007. 11. 3. 22:07 Unix/Linux
○ HP Proliant DL380G5에 LINUX 설치
OS : HP에서 Certificate 하지 않은 Linux 임
CPU : Intel Xeon 5130 2.0GHz Dual Core Processor
HDD : SAS 146GB x 4 EA
관건 : 과연 IGETLINUX에서 HP Smart Array P400을 제대로 인식할 것인가?
......
Install
......
잘한 일인지 모르지만 RAID 1+0으로 잡고 설치를 해버렸다
아뭏든 꾸역꾸역 설치가 되는 듯...
설치가 완료되고 reboot을 해서 mount를 해보니
/dev/cciss!c0d0pX .... 라는 항목이 보인다..
리눅스를 써본 이래로 저런 경로명은 첨봤다.
내가 아는 엔지니어들 총동원해도 분명 잘못되었다고 했다.
하는 수 없이 /proc/partitions 파일을 참조해 /etc/fstab을 수정하고 reboot
깔끔하게 경로문제는 해결함.
○ OS가 package group의 선택의 폭도 너무 좁고 설치될 것이라 생각했던 ssh, bzip 등
일반 유틸리티들이 설치가 안되어 수동으로 설치했다.
○ 개인적인 이야기지만 아직은 내가 썼던 OS가 개선될 부분이 많다는 생각이 든다.
나를 아는 사람들이라면 내가 사용한 OS가 무엇인지 알겠지만 이 글에서는 언급을 하지 않으련다.
2007. 11. 3. 22:04 Unix/Linux
해봐야지..
http://ftp.linuxchannel.net/apps/kernel/Documentation/usb/usb-serial.txt
○ If you are not using devfs:
The major number that the driver uses is 188 so to use the driver,
create the following nodes:
mknod /dev/ttyUSB0 c 188 0
mknod /dev/ttyUSB1 c 188 1
mknod /dev/ttyUSB2 c 188 2
mknod /dev/ttyUSB3 c 188 3
.
.
.
mknod /dev/ttyUSB254 c 188 254
mknod /dev/ttyUSB255 c 188 255
○ If you are using devfs:
The devices supported by this driver will show up as
/dev/usb/tts/{0,1,...}
○ Generic Serial driver
If your device is not one of the above listed devices, compatible with
the above models, you can try out the "generic" interface. This
interface does not provide any type of control messages sent to the
device, and does not support any kind of device flow control. All that
is required of your device is that it has at least one bulk in endpoint,
or one bulk out endpoint.
To enable the generic driver to recognize your device, build the driver
as a module and load it by the following invocation:
insmod usbserial vendor=0x#### product=0x####
where the #### is replaced with the hex representation of your device's
vendor id and product id.
2007. 11. 3. 21:46 Unix/Linux
=-=-=-=-=-=-=-=-=-=-=-=-=-=-=-
UNIX GURU UNIVERSE
UNIX HOT TIP
Unix Tip 2444 - September 10, 2006
http://www.ugu.com/sui/ugu
=-=-=-=-=-=-=-=-=-=-=-=-=-=-=-
리눅스에서의 최대 파일 갯수
프로세스 하나가 동시에 open할 수 있는 최대 파일 갯수는 다음의 명령을
사용하여 알아볼 수 있다.
getconf OPEN_MAX
@@@@@@@@@@@@@@@@@@@@[ 원문 ]@@@@@@@@@@@@@@@@@@@@
MAX FILES UNDER LINUX
Maximum number of files
that one process can
have open at one time can
be find out by using:
getconf OPEN_MAX
2007. 11. 3. 21:29 Unix/Linux
2007. 11. 3. 21:24 Unix/Linux